Search
Total (7)
소통의 플랫폼 미디어파사드와 공공디자인
낙후된 구도심(원도심)의 개선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지역적/역사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이 접목된 도시 이미지를 위하여 새로운 플랫폼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로인해 시민과 도시를 찾는 방문객을 위하여 4차 산업형 도시를 향해 도시 곳곳을 리브랜딩 하고자 하는 지자체가 많아졌다. 앞다투어 공공디자인 체계를 개발하고 미래도시로서 탈바꿈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파나플랙스형 버스쉘터는 모바일 연동 인터랙션 기능이 가능한 DID(디지털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로, 도시 안내도는 아이돌이 안내하는 AI 인포메이션으로, AR/VR 체험 미디어가 도시 곳곳에 설치되고 있다. 부분적이긴 하지만 무인 자동차의 시범 운행 등 초연결 시대를 맞아 주요 거점 도심에서 통합적 미디어 지향형으로 미디어를 활용한 생태적 진화가 도시를 변화시키고 있다.공공 서비스 플랫폼 디자인
1. 공공 서비스의 디지털 플랫폼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공공서비스가 국가와 도시의 경쟁력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떠오르고 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 IMD에서 발표하는 국가 디지털경쟁력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2019년 10위에서 2020년 두 단계 상승한 8위를 기록하며 디지털 분야에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OECD에서 발표하는 정부평가에서도 디지털우선정부 1위, 플랫폼 정부 2위, 데이터 기반 정부 3위, 열린 정부 1위, 국민주도형 정부 4위, 선제적 정부 12위로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공공 서비스의 강점과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서울 역시 우수한 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나아가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문제 해결 그리고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가치 창출의 측면에서 변화의 모습을 요구받고 있다.패널토론
오늘 진행되고 있는 서울디자인국제포럼의 주제는 Re-Connect: 가치창조자로서의 디자인이다. 디자인이 주요 목적이 새로운 가치의 창출에 있다면 다른 영역에서의 가치 창출과 다르게 디자인이 중점적으로 이끌어 내야 할 가치 창출은 무엇일까? 기업의 관점이나 공공의 관점에서 이러한 가치 창조의 관점은 어떤 차이가 있을지 궁금하다.2021 서울디자인국제포럼 오프닝
안녕하십니까, 저는 이번 2021 서울디자인국제포럼의 총괄MP를 맡은 홍익대학교의 김현석입니다. 반갑습니다. 먼저 올해 서울디자인국제포럼에 대해서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서울시는 2013년부터 유니버설디자인 국제세미나를 개최해 왔고, 2017년부터는 영역을 확장하여 사회문제해결디자인 국제포럼’을 지속적으로 개최해 왔습니다. 작년에 이 두 세미나와 포럼을 합쳐 서울디자인 국제포럼으로 통합하여 개최하였습니다. 작년의 포럼은 계속 진행하여 왔던 ‘유니버설디자인 국제세미나’와 ‘사회문제해결디자인 국제포럼’을 형식적으로 합쳐서 이틀에 나누어 각 각 진행하였던 것에 반해 올해는 이 두 주제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포럼으로 합친 구성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이번 포럼의 준비를 위해 지난 행사의 진행과 준비를 담당하셨던 분들을 워킹그룹으로 구성하여 앞으로 나아갈 포럼의 방향성과 이번 포럼의 주제를 도출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또, 이번 포럼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가 역대 포럼과 세미나를 통해 논의되었던 다양한 내용을 정리하고 아카이브 하는 것입니다. 서울디자인국제포럼이 1회성 행사가 아닌, 지속적으로 논의를 이어 나아가기 위해 지금까지의 논의 된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유니버설디자인과 사회문제해결디자인 또는 도시디자인 전반에 걸친 국내외 이슈와 사례를 분석하여 서울디자인국제포럼 온라인 플랫폼을 런칭하였습니다.‘서울디자인’ 담론 형성의 구심점 역할을 할 온라인 플랫폼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데 있어 시공간의 제약과 주체의 제한은 이제 옛말이 되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가상세계와 현실세계, 산업적 영역과 공적 영역, 시 정부와 시민사회 등 다양한 주체들이 모여 다채로운 영역에서의 미래를 준비하는 요즘이다. 경계를 뛰어넘는 조합에서 발현되는 새로운 차원의 에너지는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물론, 일상의 기반이 되는 도시를 더욱 단단하게 만드는 기폭제가 되고 있다.코로나 위기 시대 비대면 사회의 스마트 홈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강력한 전염성으로 감염 환자가 증가하고 이로 인한 사회 관계의 위축은 전 세계적 경제의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타인과 얼굴을 마주하는 것을 위험하고 불안정한 상태로 간주하게 하고, 가능한 집에 머물면서 출근과 외식, 쇼핑 등의 외부활동을 자제하는 것을 권하고 있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코로나 19의 위기는 비대면 문화와 사회로의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디지털 전환시대의 유니버설디자인 - 모두를 위한 세상 만들기
오늘날 ‘장애’라는 것은 과거와는 달리 정보의 접근성 측면과 사회적 맥락에 따라 인식되고 있다. 많은 문제들이 기술을 통하여 해결될 수 있다. 로운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지속적으로 접근성에 대한 부분이 고려되지 않는다면 새로운 장애를 느끼게 될 사람들이 생겨날 것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접근성과 상호작용 그리고 문화적 변화가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