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서울디자인국제포럼 1차 사전포럼

2022년 10월에 개최 예정인 서울디자인국제포럼의 성공적인 개최와 
주제, 사례 및 후보 선정을 위한 공감대 형성을 위해 3회에 걸쳐 사전포럼을 개최합니다. 
그 첫 번째 사전포럼이 3월 31일 온라인(Zoom)으로 개최됩니다.

 


[SDIF 사전포럼]


1차 22.3.31. 디자인 동향과 정책방향 ‘주제_Now and What’

현 시대가 요구하는 도시브랜드 향상을 위한 공공디자인 동향과 정책의 최신 주제를 논의하는 사전포럼


2차 22. 5.26. 미래를 이끄는 디자이너들 ‘연사_Who and Why’

디자인정책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고 현장에서 공공디자인의 가치를 견인하고 있는 디자이너나 정책가들이 누구인지를 찾아내는 사전포럼


3차 22. 7.21. 실증적 사례 심층분석 ‘사례_Where and When’

공공디자인의 실증적 사례들을 현장과 이해관계자 중심으로 입체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사전포럼

* 2차, 3차 사전포럼 날짜는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SDIF 1차 사전포럼 개요]

⋅일시: 2022년 3월 31일(목), 오후 2시~5시 (3시간)

⋅장소: 온라인 화상회의(줌)

⋅주최: 서울특별시 디자인정책과


[프로그램]


 

​이건표 학장님(왼쪽), 최소현 대표님(가운데), 구유리 교수님(오른쪽)



14:10-14:50           파괴적 패러다임 변화 시대의 디자인

                                홍콩 폴리텍대학교 디자인대학 학장 이건표  


최근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파괴적 혁신(Distruptive Innovation)이 디자인의 화두로 제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공공디자인이 고민해야되는 변화에 대한 심층적으로 논의합니다.


이건표 홍콩 폴릭텍대학교 디자인대학 학장은 인간중심디자인(HUman Centered Design) 전문가로써 KAIST 산업디자인과 교수와 LG전자의 기업디자인센터 부사장을 역임하셨습니다. Design Research Society의 명예회원이며 IASDR의 공동설립위원으로 국제적으로 디자인연구와 교육에 다양한 공헌을 하셨습니다. 현재 한국디자인학회의 Archives of Design Research 저널의 편집장이면서 Journal of Design Studies, IASDR 등 다양한 국제저널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계십니다.



14:50-15:30           도시브랜드 경험디자인의 가치

                                퍼셉션 대표 최소현


'어디에서 어떻게 살고 싶은가'라는 삶의 질과 방향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하는 시점에, 매력적이며 지속가능한 도시 브랜드의 진화를 위한 경험디자인을 모색해 봅니다.


최소현 크리에이티브 컨설팅 그룹 퍼셉션의 대표는 브랜드경험디자인과 디자인매니지먼트 분야에서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학부에서는 디자인을 석사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으며, 다양한 영역에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디자인으로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value creator이자 creative director로, 집단지성을 통해 결과물을 도출하는 크리에티브 워크숍에서 facilitator로 활동 중이십니다. 최소현 대표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시 디자인컨설턴트로, 2017서울디자인위크의 큐레이터로 활동했으며 2017과 2020년 대한민국디자인대상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도시와 사회, 환경에 관심이 많으며 인문학과 심리학에 기반해 인간의 경험과 삶에 대해 탐구하고 크리에이티브한 솔루션을 찾아내는 일을 지향합니다.



15:30-16:10           디자인: 통합적이고 수요지향적 근미래 정책의제 발굴을 위한 새로운 도구

                                홍익대 서비스디자인전공 교수 구유리 ※ 서울시 사회문제해결디자인 기본계획 연구


 다양한 참여자가 통합적·미래적 시각에서 정책문제를 인식하고 “선호하는 미래” (preferable future)에 대하여 합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효과적 도구로서 디자인의 가치에 대해 논의합니다.


 구유리 홍익대 교수는 인간중심적 디자인사고와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바탕으로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에 대해 연구합니다. 홍익대학교 서비스디자인전공 교수 및 사람, 제품, 장소의 상호작용과 관련해 개방적이고 분석적인 방법으로 응용 및 이론 연구를 진행하는 서비스경험디자인랩의 디렉터로서 서울시 사회문제해결기본계획 수립, 공공디자인 평가 프로세스 개발, 스트레스프리디자인: 지하철편 등을 수행하였으며, 가톨릭의료원,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등과 함께 수요자 중심의 경험 향상을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연구책임을 맡고 있습니다. 행안부 ‘국민디자인단’의 심사위원,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혁신위원, IASDR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ocieties of Design Research) 비즈니스 디자인분야 조직위원 등으로 활발히 활동하며, 공공, 헬스케어 및 산업분야 전반에서의 인간중심, 창의적 디자인사고의 활용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16:10-17:00           패널토론

                                연사3인, 연세대 윤혜경 연구교수

                                ※ 좌장: SDIF MP 김현석 홍익대 교수 



[참여방법]

아래 링크를 통해 참여신청 하신 분들께 온라인(Zoom) 참여 링크를 3월 30일(수) 오후 6시 이전까지 신청서에 작성하신 이메일로 일괄 제공됩니다.  

참여신청 바로가기

참여신청마감은 3월 30일(수)까지입니다.


[문의] 2022서울디자인인국제포럼 사무국 전화: 070-5080-5699 이메일: sdiforum2022@gmail.com

카테고리 관련 컨텐츠
해시태그 관련 컨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