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서울디자인 국제 포럼 - <마음정원>, 상담사와 함께 나의 마음을 돌보며 정성껏 가꾸어 가는 서울형 상담공간
2023 서울디자인 국제 포럼 - <마음정원>, 상담사와 함께 나의 마음을 돌보며 정성껏 가꾸어 가는 서울형 상담공간
안녕하세요 여러분!
2023 서울디자인 국제 포럼 온라인 서포터즈로 활동하게 된 재인입니다.
2023년 9월 14일 서울시에서 개최된 서울 디자인 국제 포럼(Seoul Design International Forum)은 '인간중심 도시'(Humanising Cities)라는 비전 아래, 현재 우리 도시 서울이 어떻게 조명되고 있는지 세계적인 디자이너, 건축가와 전문가인 최고의 연사분들을 모시고 시민이 원하는 서울시 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한 행사입니다.
이번 포럼은 공공의 영역(Public Realm)에서 새로운 경험을 촉진하고, 기억을 생성하며 그 집단기억을 통해 도시의 경쟁력까지도 강력하게 견인할 수 있는 '도시연금술사'로서의 공공디자인의 역할에 주목했습니다.
여기서 공공디자인이란,
공공의 장소와 시설, 환경을 디자인하여 일상생활을 개선하고 시민들의 편의성과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 방식입니다. 이는 도시의 발전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시 계획, 교통 체계, 공공 시설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적용됩니다. 공공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의 원칙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사회적 가치와 효과를 창출합니다. 이는 종종 시민 참여와 협업을 통해 이루어지며, 도시를 더 쾌적하고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인식됩니다.
앞으로의 서울디자인 국제 포럼이 매우 기대되는데요~!
서울디자인 국제 포럼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보세요.
저는 2023 서울디자인 국제 포럼의 의미를 이어가며 다양한 서울디자인 정책을 시민들에게 널리 알리고자 서울디자인을 활용한 장소, 동대문구1인가구지원센터에 위치한 서울형 상담공간 <마음정원>에 방문했습니다.
2022년, 서울시는 1인가구지원센터를 22곳에서 24곳으로 확대하며 동대문구, 성동구, 광진구, 서초구, 금천구, 관악구, 송파구, 도봉구, 강북구 등 9개 자치구의 공간을 리모델링해 시설을 개선했습니다. ‘1인가구지원센터’ 전담 상담 인력도 기존 35명에서 무려 2배에 가까운 60명으로 확대되었다고 하는데요. 이와 함께 동대문구1인가구지원센터에서는 1인 가구의 다양한 관심사를 반영한 운동, 미술 등 폭 넓은 여가문화 프로그램을 마련해 1인 가구의 건강하고 행복한 일상생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동대문구1인지원센터에서는 여가문화 프로그램 외에도 ‘심리상담’, ‘자기돌봄 및 생활역량강화’, 1인가구의 외로움 해소를 위해 3인 이상 모임 활동을 지원하는 ‘사회적 관계망 지원 사업’ 등 1인 가구를 위한 세분화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동대문구1인가구지원센터 프로그램의 꽃은 바로 1인 가구를 위한 심리상담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이 심리상담이 이루어지는 곳은 바로 서울형 상담공간 <마음정원>입니다.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무학로 89 동대문구민행복센터 2층
서울시는 시민이 생애주기별, 상황별 직면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을 디자인을 통해 개선함으로써 개인의 건강한 삶을 실현시켜 건강한 사회를 이루도록 하는 <스트레스 해소 디자인 사업>을 매년 전개하고 있는데요. 최근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스트레스성 질환 증가로 심리상담 수요는 급증하나 실제 상담시설 이용 환경이 열악한 사회문제에 관심을 두고 1차적인 심리방역 및 스트레스 해소의 접점으로서 지역사회 내 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상담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스트레스 해소 디자인 : 상담공간편>을 진행하여 서울형 상담공간 <마음정원>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마음정원>은 상담사와 내담자가 상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신뢰할 만한 국내외 논문 및 전문가들이 제시한 근거를 기준으로 개발되었는데요. <마음정원>에서는 단순한 시각적인 인테리어를 넘어 방음, 집중, 안전 3가지 키워드에 초점을 맞춘 디자인 포인트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그럼 저와 함께 서울형 상담공간 <마음정원>을 구경해 보실까요? ㅎㅎ
사진으로 알아보는 <마음정원>
공간 연출 Point
공간에 머무는 것만으로도 힐링되고 내밀한 이야기를 나누어도 안전하다고 느껴지도록 다락방 같이 아늑한 분위기의 인테리어가 연출되어 있습니다. 입구의 경쾌한 새소리가 내담자를 마음정원으로 반겨줍니다.
1. 방음 효과를 높인 <흡음 마감재>
2.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우드톤 월>
3. 편안한 톤의 <실크벽지>
4. 쾌적함, 안정감을 주는 <청록색 커튼>
5. 차분한 그린 톤의 <바닥 러그>
6. 다목적 붙박이 <보조 공간>
상담존 Point
약 1시간 동안 상담사와 내담자의 물리적, 심리적 적정 거리를 유지시키고 오로지 상담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 환경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스팟 조명이 주는 상담존의 포근한 분위기와 아늑한 패브릭 소파가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1. 적정거리를 유지시키는 <유선형 테이블>
2. 내담자를 배려한 <패브릭 소파/ 쿠션>
3. 안정되게 몸을 감싸는 <상담사 의자>
4. 상담 운영을 돕는 <필수 소품들>
5. 상담 도구를 보관하는 <서람형 수납장>
6. 심리적 방음효과를 높이는 <파티션 월>
7. 기능적 조도를 보완하는 <스팟 조명>
미디어 윈도우 Point
내담자의 공간 취향 및 심리상태에 따라 상담 시간 동안 머물고 싶은 공간 환경을 5가지 영상 모드(밤하늘, 노을빛 바다, 비오는 숲 등)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연풍경과 자연의 소리를 통해 예민해진 감정을 다스리고 상담과 대화에 집중력을 높입니다. 차분한 상담을 돕는 다도 또한 준비되어 있습니다.
1. 자연풍경을 즐기는 <선택형 미디어 윈도우>
2. 아늑한 공간을 만들어주는 <간접조명>
3. 힐링 콘텐츠를 비치하는 <매립형 선반>
4. 걸터앉아 즐기는 <좌식형 휴게공간>
<마음 정원>을 처음 들어선 순간, 따뜻한 공간과 아름다운 색감에 감동과 위로가 파도처럼 밀려왔습니다. 편히 쉬고, 터놓고, 치유받을 수 있는 공간을 새롭게 발견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1인가구 누구나 동대문구1인가구지원센터에서 다양한 상담과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으니, 상담사와 함께 나의 마음을 돌보며 정성껏 가꾸고 싶다면, 동대문구1인지원센터의 <마음 정원>과 동대문구1인가구지원센터를 방문해보세요!